실명제를 반대한다. 이 기사는 논쟁중
인터넷실명제 반대 공동대책위원회

실명제를 반대한다.

 

공직선거법 제82조6에 의하면, 선거시기에 실명확인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인터넷 언론사에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그러나 선거시기 인터넷 실명제는 국가가 인터넷 언론과 국민에게 강요하는 검열이자, 익명성에 바탕한 표현의 자유와 여론 형성의 권리를 침해합니다. 정보인권 단체로서 진보넷은 선거시기에도 네티즌이 자유롭게 의견개진을 할 수 있도록, 실명제를 거부한 인터넷언론의 기사들을 미러링하고 그에 대한 덧글란을 선거기간 동안 운영합니다. 실명제 반대 행동 참여하기실명제 반대 행동 참여하기

이 게시판을 통해 전북 참소리, 미디어충청, 민중언론 참세상, 울산노동뉴스의 기사와 관련된 토론을 직접 하실 수 있습니다.

 

삼성에서 또 백혈병 “왜 그리 바보처럼 일했을까요”

[인터뷰] 삼성SDI 근무 중 백혈병 발병한 여병운 씨

프린트하기

2013-02-21 08시02분 울산저널

“백혈병입니다.” 의사의 말을 듣는 순간,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이제 나는 죽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이 49살. 젊지는 않지만 늙은 것도 아니다. 살면서 병원에 입원해 본 적도 없다. 한 직장에서 25년 동안 일하면서 조퇴 한 번 한 적 없다. 그만큼 건강했고 그만큼 열심히 일했다. 그러던 그가 백혈병에 걸렸다. 그리고 이제 그 병이 일을 하다 얻은 병이라며 ‘산업 재해’ 신청을 하려고 한다. 여병운 씨가 25년 동안 일한 곳, 그곳은 삼성 SDI 울산공장이다.

[출처: 울산저널]
여 씨는 1964년 경남 고성에서 태어났다. 24살이던 1987년 12월 17일 친구의 소개로 삼성 SDI(당시는 삼성전관)에 입사했다. “시간이 많이 흘렀는데 입사 날짜를 정확히 기억하시네요?” 하고 묻자 그는 쑥스러운 듯 미소를 지으며 “그 날이 결혼기념일이거든요.” 하고 답했다. 입사한 지 꼭 1년째 되는 1988년 12월 17일 고등학교 동창이었던 동갑의 아내와 결혼을 했고 딸과 아들을 얻었다.

여 씨는 입사 직후부터 삼성 SDI가 TV 브라운관 국내 생산을 중단한 2006년까지 20년 동안 컬러 브라운관 1공장에서 일했다. 1993년까지는 ‘F가공반’ 소속이었고, 이후에는 ‘봉착반’에서 일했다. 여 씨가 F가공반에서 했던 일은 브라운관 유리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기 위해 ‘불산’으로 세척하는 것이었다.

마치 수족관처럼 생긴 통 안에 유리를 넣으면 불산이 분사돼 유리를 세척했다. 세척 작업은 통 안에서 진행됐지만 냄새를 막지는 못했다. 게다가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통 안에 직접 들어가 불산 찌꺼기와 유리 조각들을 치워야 했다. 통 안에 들어가 작업하고 나오면 온 몸이 아팠다.

봉착반에서 한 일은 브라운관의 앞유리와 뒷유리를 붙이는 일이었다. 붙이기 전 장갑을 아세톤에 적셔 판넬을 닦았는데 냄새가 심했을 뿐만 아니라 아세톤이 손에 묻어 피부가 하얗게 변하곤 했다. 브라운관 제조 과정에서 흑연과 납, 그 외에 여러 화학물질을 사용하는데 가루가 날려 불량이 난 물건은 질산을 물에 희석시켜 가루를 제거했다. 앞유리와 뒷유리를 프리트(Frit, 유리질 분말)로 붙인 후 봉착로에 넣어 구웠는데 봉착로 안의 온도가 500도에 달했다. 봉착로 외에도 소성로, 배기로 등이 있어 공장 안은 늘 더웠다. 1년 내내 에어컨을 틀었고 여름에는 40도가 넘었다. 반팔 작업복을 입고 일을 하다보니 팔에 화학물질이 튀기도 했고 땀으로 젖은 몸에는 여러 가루들이 달라붙곤 했다.

2000년대 중반 삼성 SDI가 브라운관의 국내 생산을 중단하면서 여 씨가 일하던 1공장도 2006년 8월 문을 닫았다. 여 씨는 PDP를 만드는 공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검사 공정에서 일했는데 불량 여부 검사는 주로 여직원들이 하고 여 씨 등 남자 직원들은 불량 판정이 난 물품을 빼내 레이저를 쏴 수리했다. 레이저를 쏠 때는 눈과 피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문을 닫고 쏘라고 돼 있지만 바쁘다보니 문을 닫지 않고 작업을 하기 일쑤였다.

그는 “공식적으로는 3교대 근무였지만 단 한 번도 3교대 근무를 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보통 하루 12시간씩 일했다. 공정에 따라 토, 일요일 모두 쉬는 곳도 있었지만 그가 일하던 공정은 가동하려면 미리 준비해야 돼 일요일 저녁부터 다시 일이 시작됐다. 어떤 날은 아침 6시에 출근해 오후 2시에 퇴근했다가, 그날 밤 10시 다시 출근해 다음날 아침 6시까지 일한 적도 있다. 브라운관 공장에서 일하던 때는 보통 한 달에 550시간 이상 일했고, PDP 공장으로 옮긴 후에도 한 달에 400시간 넘게 일했다.

2011년 12월 중순 경부터 감기 증상이 있어 약을 사먹었지만 낫질 않고 자꾸 졸음만 쏟아졌다. 며칠 후부터는 코피가 나기 시작했는데 한 번 피가 나면 잘 멈추질 않았다. 해가 바뀌고 한 달이 다 되어가도록 감기가 낫질 않자 2012년 1월 10일 경 내과에 갔다. 의사가 얼굴이 너무 안 좋다며 피 검사를 해보자고 했다.

사흘 뒤 결과가 나왔다며 병원으로 오라는 전화를 받았다. 백혈병일 가능성이 90%가 넘는다며 큰 병원으로 가보라고 했다. 부산동아대병원에 가 다시 검사를 받았다.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1시간 반 동안 오진이었기를, 백혈병이 아니기를 간절히 기도했다. 그러나 신은 그의 기도를 들어주지 않았다. 의사는 그에게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2달 이상 치료를 안 하면 사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흘 뒤 1월 17일 서울삼성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시작했다. 백혈병 치료는 제일 먼저 항암제를 투여해 백혈병 세포를 5% 미만으로 만드는 관해유도치료부터 시작한다. 관해유도치료의 성공 여부가 이후 치료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다행히 여 씨는 관해유도치료가 잘 끝났다. 그러나 그건 시작이었다.

이후 4번의 항암치료를 했다. 항암치료 과정은 먼저 항암주사를 맞으며 5일 동안 치료하고 퇴원해 5~7일 집에서 쉰다. 다시 병원에 가 보름 정도 회복을 지켜보고 퇴원해 일주일 후 다시 검사한다.
2~3주 뒤 다시 항암주사를 맞는다. 항암치료를 하면 통증이 너무 심해 걸을 수조차 없어 며칠 동안 침대에 누워있어야만 했다. 거기다 열이 나고 입과 목이 다 헐고 구역질이 나 아무것도 먹을 수가 없었다. 차라리 죽고 싶을 정도였다.

골수이식을 위해 4명의 형제들이 검사했지만 맞는 게 없었다. 자가이식조차 할 수 없었다. 그래도 다행히 경과가 좋았다. 항암치료 과정에서 상태가 나빠지면 중환자실로 옮겨지는데 그 길로 떠나는 사람도 많았다. 그러나 여 씨는 중환자실에 한 번도 가지 않고 치료를 마쳤다. 치료가 끝나고 계산해보니 병원비만 2천만 원이 들었다. 병원에 다니느라 쓴 경비 등은 하나도 포함되지 않은 치료비 만이었다. 그래도 관해치료가 한 번에 잘 끝났고 중환자실에도 가지 않아 최저 수준으로 든 거라고 했다.

지난해 8월 30일 마지막 진료를 하고 퇴원했다. 4개월을 더 쉬고 지난달 3일 복직했다. 여 씨는 회사에 기존에 일하던 자리가 아닌 사내 체육관 관리 업무를 하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그 자리에서 일하는 동료 역시 여 씨처럼 아파서 치료를 받은 후 돌아와 일하고 있었다. 그러나 회사는 여 씨에게 사무실 구석에 책상을 하나 내주더니 아무 일도 시키지 않고 있다. 결국 그는 산재 신청과 기자회견을 결심했다.

여씨는 “25년 동안 남들이 기피하는 공정에서 옮기지도 않고 계속 일한 게 억울하다”고 말했다. 그는 “근로복지공단이 역학 조사를 잘 해서 산재 승인되고 이것이 널리 알려져서 저 뿐 아니라 혹시 예전에 일했던 사람들도 병에 걸리면 치료라도 잘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정은 기자)
의견쓰기
덧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