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제를 반대한다. 이 기사는 논쟁중
인터넷실명제 반대 공동대책위원회

실명제를 반대한다.

 

공직선거법 제82조6에 의하면, 선거시기에 실명확인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인터넷 언론사에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그러나 선거시기 인터넷 실명제는 국가가 인터넷 언론과 국민에게 강요하는 검열이자, 익명성에 바탕한 표현의 자유와 여론 형성의 권리를 침해합니다. 정보인권 단체로서 진보넷은 선거시기에도 네티즌이 자유롭게 의견개진을 할 수 있도록, 실명제를 거부한 인터넷언론의 기사들을 미러링하고 그에 대한 덧글란을 선거기간 동안 운영합니다. 실명제 반대 행동 참여하기실명제 반대 행동 참여하기

이 게시판을 통해 전북 참소리, 미디어충청, 민중언론 참세상, 울산노동뉴스의 기사와 관련된 토론을 직접 하실 수 있습니다.

 
노동절에 노동자들이 말할 수 없다!
작년 노동자대회와 올해 노동절 전야제
프로메테우스
지난해 말부터 노동부에서 상정한 비정규직 법안에 대해 대응전략의 부분과 관련해 ‘사회적 합의주의 논쟁’이 뜨거웠다. 그 논쟁으로 민주노총 대의원대회가 잇따라 무산됐지만, 결국은 위원장 직권으로 민주노총은 노사정 대표자회의에 참여하게 된다.

그 과정의 연장선에서, 올해 115회 노동절에서 10년간 문선대로 참여했던 단위들이 전야제 공연에서 탈퇴했다. 현장 노동자이자 조합원 그리고 문선대로서 그들에게 노동절 전야제 메인 무대 공연이란 것이 어떤 의미일지는 누구나 짐작 가는 것이다. 어쩌면 자기 삶의 가장 희열이 충만한 순간일 그 기회를 왜 그들은 스스로 포기할 수밖에 없었을까?

사회적 합의주의. 그들은 그것에 대한 반대를 표현하는 문선을 하려고 했다. 그러나 기획연출단은 거기에 제동을 걸었고 결국 문선대 대거 탈퇴란 결과를 가져왔다.

지난해 노동자대회 전야제 때, 그들은 사회적 합의란 깃발을 찢으며 문선을 했다. 반면 올해 노동절 전야제에서 그들은 그 공간에서 배제되거나, 주변에서 작은 공연을 해야 했다.

두 개의 공연 모습, 그리고 탈퇴를 결의할 수밖에 없었던 문선대의 두 사람을 만나봤다.
2005년05월08일 00:31:25
  
의견쓰기
덧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