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제를 반대한다. 이 기사는 논쟁중
인터넷실명제 반대 공동대책위원회

실명제를 반대한다.

 

공직선거법 제82조6에 의하면, 선거시기에 실명확인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인터넷 언론사에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그러나 선거시기 인터넷 실명제는 국가가 인터넷 언론과 국민에게 강요하는 검열이자, 익명성에 바탕한 표현의 자유와 여론 형성의 권리를 침해합니다. 정보인권 단체로서 진보넷은 선거시기에도 네티즌이 자유롭게 의견개진을 할 수 있도록, 실명제를 거부한 인터넷언론의 기사들을 미러링하고 그에 대한 덧글란을 선거기간 동안 운영합니다. 실명제 반대 행동 참여하기실명제 반대 행동 참여하기

이 게시판을 통해 전북 참소리, 미디어충청, 민중언론 참세상, 울산노동뉴스의 기사와 관련된 토론을 직접 하실 수 있습니다.

 

“21대 총선, 노동 의제 실종”

노동사회단체, 정당들에 노동 정책 공개 질의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학술단체협의회, 한국비정규노동센터 등 8개 사회단체가 21대 총선에서 비정규직 등 노동 의제가 실종됐다고 주장했다.

사회단체들은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1대 총선은 예년의 총선들과 달리 전반적으로 정책 경쟁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비정규직 규모는 전체 피고용자의 절반 이상으로 추정되며, 절대적 규모는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비정규직 문제가 거의 개선되지 않고 있는데도 21대 총선에서 비정규직 문제가 의제화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준연동형비례대표제의 선거법 개정을 무력화하는 양대 정당들의 위장정당 꼼수 정치가 총선의 최대 초점이 되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선거 운동 과정의 정책 대결 분위기가 조성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단체들은 이번 총선에 참여한 각 정당에 노동 정책을 질의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공개했다. 질의 항목은 △상시업무 정규직 채용 의무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고용형태 차별 금지 △특수고용노동자의 노동자성 인정 △위험의 외주화 금지 △간접고용 노동자의 노동3권 보장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과정서 자회사 전환 방식 폐기 등 16개 항목이다.

정의당, 녹색당, 민중당은 16개 항목에 전부 동의한다고 답했고, 더불어민주당은 9개 항목에 찬성, 6개 항목은 유보(부분 찬성), 1개 항목은 반대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반대한 항목은 자회사 전환 방식 폐기이며, 유보한 항목은 최저임금 1만 원, 위험의 외주화 금지, 고용보험 수급 요건 완화 등이다.

반면 미래통합당, 국민의당, 민생당은 거듭된 질의 요청에도 답변을 보내지 않았다. 다만 단체들은 미래통합당의 21대 총선 공약을 참조했을 때 14개 항목에 반대, 2개 항목은 유보인 입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단체들은 이 같은 정당 입장을 전하며 공약이 ‘빈 약속’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20대 국회에서도 노동 관련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체들에 따르면 20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소관위원회인 법률 제·개정 건수는 총 169건, 이중 노동관계법 개정은 46건, 비정규직 관련 법 개정은 단 3건에 불과하다. 기간제법 개정안 27건, 파견법 개정안 24건, 최저임금법 개정안 83건이 현재 상임위에 계류 중이지만 20대 국회 회기 마감(2020년 5월 29일)과 함께 자동 폐기될 것으로 보인다.

단체들은 20대 국회의 비정규 입법 현황을 두고는 “비정규직 문제 개선이 아니라 개악의 성격이 짙었다”며 “최저임금 산입범위를 확대한 최저임금법 개정은 노동자 입장에서 개선이 아닌 개악이었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부 개정도 안전한 일터를 보장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매우 미흡한 내용”이라고 비판했다.
의견쓰기
덧글쓰기
덧글

2020.04.09 19:49
정규직 노조도 일부 타성에 젖은 것은 아닐까요.

2020.04.09 19:57
민변이 언제까지 진보적이었을까요. 요즘에도 민변을 찾는 사람이 있나. 비정규직과 실업자들은 기사에 나오는 단체와 당은 전부 싫다고 할 사람들이 상당수이지 않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