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명제를 반대한다. 이 기사는 논쟁중

실명제를 반대한다.
실명제 반대 공동대책위원회

올라 아메리까 청취자 게시판
프로그램 소개 | 다시듣기 | 청취자게시판 보기
민중언론 참세상은 현행 공직선거법 82조에 의거한 '선거운동 기간 중 모든 인터넷 언론의 게시판 등을 실명으로 운영'하도록 강제하는 정부의 실명제를 전면 거부합니다!
인터넷 선거실명제는 모든 국민을 허위정보 및 비방의 유포자로 전재하는 명백한 사전 검열이며, 익명성을 바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표현의 자유와 여론 형성 권리를 제한합니다.
이에 따라 민중언론 참세상은 청취자들의 표현의 자유를 심대히 제약하는 실명 인증을 단호히 거부하고 청취자게시판을 임시 폐쇄하며, 대신 2007년 대통령선거 운동기간(11.27 ~ 12.18)동안 진보네트워크센터에서 운영하는 청취자 게시판을 보여드립니다. 쓰기 또한 진보네트워크센터의 청취자 게시판에 쓰여집니다. 실명제 반대와 선거법 개정을 위한 운동에 많은 동참 바랍니다.
->인터넷 선거실명제 폐지 공동대책위원회 홈페이지
대선후보자에 대한 근거 없는 비방이나 흑색선전, 반인권적인 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질문있습니다. 'Sólo le pido a Dios'라는 노래에 대해0서 알려주세요
꿈이
13 481  
2007년 12월 10일 03시 55분 46초
가사들이 상당히 의미심장하던데..,
이 곡의 작자가 누군인지,
어떤 배경에서 만들어졌는지...,
어떻게 불리웠는지 들을 알고싶어요.

그리고..,
노랫말들을 사전찾아가면서 해독하려고 하는데 아래 구절이 전체맥락에서 잘 납득이 안됩니다.
desahuciado está el que tiene que marchar
a vivir una cultura diferente.
이걸
'절망에 빠진 이들은 다른 문화(문명?)을 찾아갈수밖에 없다...' 라고 이해하는게 맞는지요.

잘몰라서, 원래가사(라고 추정되는) 글을 싣습니다.

Sólo le pido a Dios
que el dolor no me sea indiferente,
que la reseca muerte no me encuentre
vacío y solo, sin haber hecho lo suficiente.

Sólo le pido a Dios
que lo injusto no me sea indiferente,
que no me abofeteen la otra mejilla,
después que una garra me arañó esta suerte.

Sólo le pido a Dios
que la guerra no me sea indiferente,
es un monstruo grande y pisa fuerte
toda la pobre inocencia de la gente.

Sólo le pido a Dios
que el engaño no me sea indiferente,
si un traidor puede más que unos cuantos,
que esos cuantos no lo olviden fácilmente.

Sólo le pido a Dios
que el futuro no me sea indiferente,
desahuciado está el que tiene que marchar
a vivir una cultura diferente.

Sólo le pido a Dios
que la guerra no me sea indiferente,
es un monstruo grande y pisa fuerte
toda la pobre inocencia de la gente.

  
쓰기 목록   수정 답글 삭제